데이터베이스기초 (8) 썸네일형 리스트형 [데이타베이스론] 데이타 종속성과 정규화 데이타의 논리적 표현 릴레이션 스키마의 설계 논리적 데이타베이스 설계 관계 모델을 이용하여 어떻게 실세계를 정확히 표현할 것인가? i. 애트리뷰트, 엔티티, 관계성을 파악(현실 세계에 있는 것들을 바탕으로) ⅱ. 관련된 애트리뷰트들을 릴레이션으로 묶음(테이블 형태로 만든다.) *고려사항 1.애트리뷰트들간의 관계성(relationship): 데이타 종속성(data dependency) 2.효율적인 데이타 처리 3.데이타의 일관성 iii. 변칙적 성질의 예방(애트리뷰트의 종속성에 의한 이상을 방지해야 한다.) 데이타 변경 시의 이상(anomaly) 이상 삭제 이상 200번 학생이 'C123'의 등록을 취소 ⇒ 3학년이라는 정보도 함께 삭제됨 연쇄 삭제(triggered deletion)에 의한 정보 손실(l.. [데이타베이스기초 8장] 데이타 모델링 데이타의 세계 데이타베이스는 계속적으로 변하는 현실 세계 표현 데이타 모델 = 설계 과정에서 컴퓨터에 저장할 데이타의 구조를 논리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능적 도구 데이타는 세 계의 상이한 세계 1. 현실 세계 인간이 오관을 통해 감지할 수 있는 개체(entity)로 되어 있음 -> 개념적 모델링 -> 개념 세계(E-R 다이어그램) 2. 개념 세계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실체의 의미로부터 얻은 개념으로 표현 -> 논리적 모델링 -> 컴퓨터 세계 3. 컴퓨터 세계 이 개념 세계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타로 표현 [ 3가지 모델링 ] 개념적 모델링: 개체와 개체들 간의 관계에서 ER다이어그램을 만드는 과정(인간이 이해하기 쉽도록!!) 논리적 모델링: ER다이어그램을 사용하여 관계 스키마 모델을 .. [데이타베이스기초] 5장 관계 대수 관계 데이타 연산 결과 릴레이션의 크기는 해당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의 수를 말합니다. -> 릴레이션 r의 카디널리티 3, 릴레이션 s의 카디널리티 5일 때 자연 조인 시 결과 릴레이션의 최대 크기가 5 시스템 입장에서 연산, 사용자 입장에서 데이타 언어를 사용합니다. 사용자가 데이타 언어로 입력 -> 시스템이 연산 1. 관계 데이타 언어 관계 데이터에는 연산(처리)을 위한 언어가 존재한다. 관계 연산 = 주어진 릴레이션으로부터 필요한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자 그것은 정형어라 부르며 관계 대수와 관게 해석 두개로 나뉜다.(Regular expression) **정형어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회, 수정, 삭제, 추가 등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화된 쿼리 언어 관계 해석과 관계 대수는 표.. [데이타베이스기초] 4장 관계 데이타베이스 ** 헷갈릴만한 용어 정리 릴레이션 = 테이블, 릴레이션 인스턴스의 집합 애트리뷰트 = 속성, 필드, 테이블 열 도메인 튜플 = 레코드, 테이블 행 인스턴스 = 튜플의 집합 관계 데이터 모델 = 프로그래밍 시스템 릴레이션 인스턴스 = 튜플들의 집합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 = 모든 릴레이션들의 인스턴스 집합 투플의 수 = 카디널리티, 애트리뷰트의 수(차수) = 디그리 관계 데이타 모델(테이블 형태) -> 관계 데이타베이스 관계 데이타베이스는 관계 데이타 모델에 기반으로 구현된 데이타베이스이다. 1970년 IBM의 E.F.Codd에 의해 제안되었다. 1. 관계 데이타 모델의 특성 -수학에서의 릴레이션과 집합 이론에 기초 추상적 개념인 릴레이션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 테이블이다. 따라서 하나의 릴레이션은 여러.. [데이타베이스기초]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데이타베이스 시스템 데이타를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하고 관리해서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컴퓨터 중심의 시스템 데이타베이스나 DBMS가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의 일부가 됨 1. 구성요소 3단계 데이타베이스 데이타 언어 사용자 DBMS DBA(데이타베이스 관리자) DBC(데이타베이스 컴퓨터) 3단계 데이타베이스(DB)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사용자가 공용 가능한 데이타의 집합인 데이타베이스는 3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외부스키마와 내부스키마는 사상할 수 없습니다. 1. 데이타베이스의 3단계 표현( -> View 관점에서 3개의 스키마로 나뉨)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의 기초로 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DB !! 데이타베이스는 스키마들의 집합입니다. 스키마란? 테이블(데이타)들을 .. [데이타베이스기초]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의 발전 배경 1. 파일 중심 데이터 처리 시스템 초기 데이타 처리 시스템은 파일 중심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었다. (1:1 대응) 각 응용 프로그램이 개별적으로 자기 자신의 데이터를 파일로 관리 유지하는 처리 시스템 파일 중심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특성 OS가 지원 응용 프로그램은 응용 프로그래머가 생각하는 논리적 파일 구조를 직접 물리적 파일 구조로 구현해야 한다. 응용 프로그래머는 물리적 데이터 구조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함 모든 응용 프로그램은 자기 자신의 데이터 파일을 가지고 있어야 함 응용 간의 데이타 공용이 불가능 -> 하나의 파일은 하나의 응용만을 위해 존재함(1:1 관계) => 데이터 공용을 할 수 없어서 데이터 종속성, 데이터 중복성을 야기함 2. 데이터 중복성 한 시스템 내에서.. [데이타베이스기초] 정보 환경 정보 처리 시스템 1. 정보와 데이타 (1) 정보와 데이타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그 상황에 맞는 정확한 정보가 필요 데이타 = 단순하게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서 수집된 값이나 사실, 예시는 강수량, 인구 수, 몸무게 정보 = 데이타들을 처리해서 의사 결정을 위해 필요한 것만 모아둔 것 -> 의사결정에서 유용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때 가치 인정(현재성, 정확성, 적시성) 우산을 팔려고 하는 사람에게는 강수량, 인구 등이 정보가 됨 데이타가 정보보다 넓은 범위 개념 (ex) 카카오 열매=데이타 -> 가공(데이타 처리, 정보 처리) -> 초콜릿=정보 정보는 데이타를 처리해서 얻어진 결과 P(D)=I 데이타->처리기->정보 (2) 정보 추출 방법 많은 데이타 중에서 우리가 필요한 정보만 추출하는 것 = 정.. [데이터베이스기초] SQL SQL의 역사 최초의 데이타 언어 SEQUEL에 연유합니다. SEQUEL이란? -> 1974년, IBM 연구소에서 발표 -> 실험적 관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인 'SYSTEM R' 인터페이스로 설계 구현(이 언어 처음 구현할 때) 표준 SQL 1986년, SQL 1 1992년, SQL 2 1999년, SQL 3 2003년, QL4, 객체 개념을 지원하는 기능 추가 현재 미국 표준 연구소(ANSI)와 국제 표준 기구(ISO)에서 관계 데이타베이스의 표준 언어로 채택 상용 DBMS인 IBM의 DB2와 SQL/DS의 데이타 언어로 사용하는 중 -> 제품 다르지만 형태 유사 ORACLE, INFORMIX, SYBASE 등과 같은 다른 회사에서도 채택 SQL의 의미 일단 질의어란?? 질의어는 데이터베이.. 이전 1 다음